본문 바로가기
영유아 발달 정보

정신역동 이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2(무의식, 전의식, 의식)

by 빵글빵글 2025. 4. 14.

  프로이트는 성격의 구조를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보았으며(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1편 참조), 의식 수준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무의식

  무의식은 인간 행동을 개념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서, 개인의 의식 수준 혹은 사고 가능한 수준이 아닌 무의식 수준의 정신 에너지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욕구나 본능이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영역으로, 인식할 수 없고,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없는 것이 무의식입니다. 무의식은 억압된 생각이나 정서로 이루어지며, 무의식의 내용은 충족되기를 기다리는 소원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무의식은 인간의 정신세계에 감추어져 있어 우리가 지각하지 못하는 기억과 경험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프로이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정신세계입니다. 즉, 무의식은 의식의 존재 아래에 있는 정신세계로서 본능, 충동 등이 잠재되어 있는 곳입니다.

 

전의식

  전의식이라는 정신 과정은, 즉시 인식되지는 않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즉,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부분으로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의식으로 나타나는 부분이며 반대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의식에서 사라지는 부분입니다.

 

   소원이나 욕구를 통제하며 외부 현실의 요구, 도덕 기준, 가치관에 맞추어 불쾌한 것을 피하고 본능적 욕구의 방출을 지연시킵니다.

 

의식

  의식은 한 개인이 어느 순간에 인식하고 있는 감각, 지각, 경험 등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의식은 자기 자신이 주의를 기울이는 순간에 알 수 있거나 느낄 수 있는 정신 작용으로 우리가 어떤 순간에 알거나 느낄 수 있는 모든 감각과 경험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개인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프로이트는 주장하였습니다. 개인은 감각 기관과 주의력을 통해서만 외부 세계를 의식할 수 있습니다.

 

------------------------------------------------------------------------------------------------------------------------------------------------

 

  프로이트에 의하면 개인은 생후 첫 5~6년 동안에 자신의 성경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연속적인 5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가정합니다.

 

  특히, 각 단계에서 경험하게 되는 성적 또는 육체적 쾌락이 지나치게 충족되거나 좌절될 경우, 이 경험은 개인의 성격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각 단계에서 개인은 갈등과 왜곡을 경험할 수 있으며, 만약 이를 원만하게 해결하지 못하면 특정 단계에서 많은 부분이 정지되는 고착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개인이 최적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의 위기를 원만하게 해결해야 합니다.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3'에서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