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유아 발달 정보

정신역동 이론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3(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by 빵글빵글 2025. 4. 14.

  이전 편(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2) 하단에 프로이트가 제시한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연속적인 5단계에 대하여 프로이트는 왜 중요하게 여기는지와, 이러한 과정을 제대로 경험하고 해결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고착화 현상의 뜻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 드렸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각 단계별 설명을 구체적으로 드리겠습니다.

 

구강기 (0~1세)

  입 주위에 흥분이 모아지는 시기로 영아는 수유, 손가락 빨기 등으로 욕구가 충족되며, 성인은 껌 씹기, 섭식, 흡연, 키스 등으로 욕구를 충족합니다.

 

  이 시기에 영아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 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의존합니다. 영아는 젖을 빨면서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하지만, 어머니의 존재를 자신과 분리된 존재로 보지 못합니다.

 

  영아의 주된 성감대는 입과 구강이며, 만족의 중요한 근원은 먹는 것입니다. 모든 경험은 먹기와 관련된 활동에 의해 중재된다고 가정합니다. 구강기에 겪는 대부분의 경험은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기 때문에 무의식 속 영구히 남기 쉽습니다.

 

  먹는 것 이외에도 빨기, 핥기, 물기 등의 구강 활동을 통해서도 쾌감을 얻습니다. 구강기에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사람은 대부분 어머니이지만, 자신에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대상에게 애착을 형성하게 됩니다.

 

  만약 구강기에 빠는 행동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면 욕구 불만을 가져오거나, 젖을 너무 오래 먹는 경우에도 고착화 현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항문기 (2~3세)

  항문기는 성감대가 항문 영역으로 옮겨지는 시기이며, 항문 주변의 점막의 자극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이때 아이는 배설물을 보유하거나 배설하는 데서 쾌감을 얻습니다. 

 

  즉, 아동의 신경계의 발달로 자신의 능력으로 괄약근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대로 배변이나 배뇨를 할 수 있게 되며, 배설 행동과 관련된 행동을 중심으로 성격이 형성됩니다. 

 

  항문기는 아동이 처음으로 사회의 기대에 순응하도록 요구되는 단계입니다. 이때에는 언어적인 능력도 어느 정도 있어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대소변훈련이 이루어집니다. 

 

  유아의 본능적인 충동은 처음으로 외부로부터의 통제를 받게 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유아가 경험한 것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의식에 남게 됩니다.

 

  만일 부모가 너무 엄격하고 억압적으로 대소변 훈련을 시킨다면 성인이 된 후에도 고착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항문기의 고착 성격에는 청결 강박, 지나친 절약(수전노) 등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남근기 (4~6세)

  성감대가 성기로 옮겨 가는 시기로 아동의 성격발달에 중요한 심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아동은 성적 관심이 더욱 강해지며, 모든 관심이 성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성기를 자세히 관찰하며 자위행위를 하기도 하고, 부모에게 출생과 성에 관련된 질문을 하기도 합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이성 부모에 대해서 무의식적인 성적 소망을 가지는데 남아에게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여아에게는 엘렉트라 콤플렉스가 나타납니다. 

 

  즉, 동성의 부모를 적대시하고 이성의 부모에 대해서는 근친상간적 성적 욕구가 생깁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남자아이가 어머니에 대하여 강한 애정을 느끼고 아버지에 대하여 적대감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서 남자아니는 아버지가 자신의 생각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성기를 없앨 것이라는 거세 불안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래서 남자아이는 거세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어머니에 대한 애정을 포기하고 아버지에게 가졌던 적대감도 포기하여 자기 자신과 아버지를 동일시하면서 아버지의 가치와 기준을 받아들입니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여자아이가 아버지에 대하여 애정을 느끼고 어머니에 대하여 적대감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서 여자아이는 자신에게 남근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실망을 느끼게 되고 남근을 부러워하고 갖고 싶어 하는 남근선망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래서 여자아이는 남근선망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기 자신과 어머니를 동일시 하면서 어머니의 가치와 기준을 받아들입니다. 

 

  이러한 부모에 대한 동일시 과정에서 초자아가 형성됩니다. 이 시기의 중요한 과업은 초자아의 형성과, 적절한 성 역할 정체감의 확립입니다.

 

  이 단계에 고착되면 두 가지 극단적인 성격이 나타납니다. 적극적인 남근기적 성격은 과시적이고 거만하고 공격적인 성향으로 나타나며, 소극적인 남근기적 성격은 오만하면서도 지나치게 겸손한 태도로 표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