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유아 발달 정보

태내기~유아기까지의 발달 단계

by 빵글빵글 2025. 4. 13.

  인간의 발달 단계를 어떻게 나누느냐는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발달 단계를 구분할 때 사용되는 수단은 연령입니다. 하지만 연령에 따라 인간의 발달 특징을 분류하는 것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개인의 발달 과정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는 생물학적 연령을 기준으로 인간의 단계를 8단계로 살펴보겠습니다.

 

태내기

  태내기는 수정에서부터 출산까지를 말하며, 태아가 어머니 뱃속에 있는 약 10개월 동안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태내 발달 단계는 발아기, 배아기 그리고 태아기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발아기 (수정~2주)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수정란인 접합체가 세포분열을 계속해 가며 자궁벽에 착상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인간의 생애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기간이지만 신체는 이것에 대하여 거의 지각하지 못합니다.

 

2) 배아기 (2주~8주)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한 후부터 8주까지의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세포분열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면서 신체의 대다수의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그리고 배아기는 빠른 성장과 발달로 인하여 태내기 중에서 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입니다.

 

3) 태아기 (8주~출생)

  새로운 기관의 형성보다는 신체기관들이 다듬어지는 기간입니다. 즉, 배아기에서 기본적으로 형성된 신체기관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기능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영아기

  영아기는 출생 이후 24개월까지를 말합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출생 후 2~4주 사이를 '신생아기'라고 부릅니다. 이 시기에 영아는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성장할 준비를 하는 기간이기도 합니다.

 

  영아기는 인간발달의 여러 영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입니다. 신체발달은 매우 급격하고 범위가 넓게 이루어집니다. 즉,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신체형태가 빠르게 변화합니다. 또한 몸통이나 팔다리를 움직이는 대근육 활동과 주로 손가락을 민첩하게 움직이는 소근육 활동과 같은 운동발달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특히 영아기 동안 두뇌는 '뇌 성장 급등기'라고 할 만큼 급격하게 발달하므로, 이 시기의 뇌 발달이 이후의 뇌 성장과 기능을 결정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 인지적 발달은 매우 빠르게 진행됩니다. 영아기에는 자신을 둘러싼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이 주로 감각기관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대체로 감각기관을 통하여 들어온 정보를 지각하고 환경에 반응하는 도식을 형성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영아는 이미 태내에서부터 청각 기능이 발달되어 있어서 언어적, 비언어적인 자극에 노출되어 있는데, 출생 후에도 주 양육자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인지능력이 발달합니다.

 

  그리고 영아기는 주 양육자와 사회적 관계를 통해 정서-사회의 발달이 서서히 이루어집니다. 영아기 동안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형태의 정서-사회적 발달은 애착입니다. 이러한 애착은 영아와 주양육자가 서로에게 밀접한 정서-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면서 생겨납니다. 따라서 영아의 정서-사회적 발달을 위해서는 영아에 대한 주양육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절대적인 사랑이 필요합니다. 

 

유아기

  유아기는 만2세부터 6세 가량의 기간을 말합니다. 이 시기의 유아는 자기 주장과 지배 욕구가 매우 강하게 나며, 이는 개인으로서 자아를 인식하기 시작함에 따른 반항과 고집, 자기 주장으로 이어집니다.

 

  이 시기의 유아가 경험하는 긴장은 아이의 행동을 제한하고 규제하려는 환경의 요구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유아는 자신의 행동에서 타인의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기에는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자기중심적 존재로부터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는 존재로 성장해갑니다.

 

  이 시기에 유아는 자신의 고유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여 유아기 후반에 가면 "내 마음대로' 하는 것보다는 "내 스스로" 하는 것에 더 관심을 갖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