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발달 정보

발달에 대한 쟁점

빵글빵글 2025. 4. 13. 23:00

  학자들은 영유아기에 나타나는 발달뿐만 아니라 인간발달에서 제기되는 이론적 문제들에 대해 논쟁을 해 왔습니다. 그러나 학자들은 인간의 본질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발달에서 논의되는 몇가지 쟁점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과 환경

  학자들 사이에서 인간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유전에 의한 것이냐 아니면 환경에 의한 것이냐를 두고 학자들은 수많은 논쟁을 해 왔습니다. 유전론자들은 대부분의 인간 행동은 발달의 본질에 있어서 유전적 요소, 생물학적 성숙, 신경학적 기능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았습니다. 반면에 환경론자들은 인간발달이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았습니다. 

 

  다시 말해 학자들은 인간발달이 유전에 의한 것이냐 아니면 환경에 의한 것이냐를 두고 끊임없이 논쟁해 왔지만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보다는 유전과 환경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간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유전형에 대하여 일정 범위의 표현형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은 유전형이 표현되어 나타나는데에는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환경은 개인마다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신장이 평균적인 유전자를 가진 아동이 좋은 환경에서 자란다면 평균보다 신장이 클 것이고,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 자란다면 평균보다 신장이 작을 것입니다. 

 

성숙과 학습

  학자들 사이에서 인간발달의 주원인이 되는 중요한 과정은 성숙에 의한 것이냐 아니면 학습에 의한 것이냐를 두고도 앞의 유전 및 환경과 마찬가지로 논쟁을 해 왔습니다. 여기에서 언급할 성숙과 학습에 대한 논쟁은 인간발달을 유도하는 과정을 통해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성숙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달적 변화들이 통제되는 생물학적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영유아기의 신체적 성장이 빠르게 진행된다든지 사춘기에 이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 등입니다. 또한 영아기의 언어발달에서 한 단어 문장을 말하고 난 뒤, 두 단어 문장을 말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발달과정은 성숙에 의하여 일어난 사건이며, 인간이 특별한 훈련이나 연습과 같은 학습을 통하여 이루어 낸 결과물이 아닌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러한 것들은 학습의 결과가 아니고 예정된 변화의 과정에 지나지 않습니다.

 

  학습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 경험의 산물로써 연습이나 훈련에서 기인하는 발달적 변화과정을 말합니다. 그리고 학습의 결과는 매우 개별적이고 특수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스포츠의 훈련이나 운전기술의 습득은 매우 특정한 훈련이나 연습에 의존하는 학습된 행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속성과 불연속성

  발달의 형태 면에서 발달의 연속성을 주장한 학자들은 인간발달을 수정에서 죽음까지 연속적이고 점진적이며, 축적된 변화의 형태로 봅니다. 즉, 학습을 중요시하는 행동주의들이 보는 시각인 발달의 형태와 유사합니다.

 

  예를 들어, 영아가 처음 말을 시작할 때 어느순간 갑작스럽게 말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연속적이 아닌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속성을 주장하는 학자 입장에서 보면, 몇 주 혹은 몇 달에 걸친 연습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발달의 형태 면에서 불연속성을 주장한 학자들은 발달이 양적인 것이 아니고 질적인 것으로써 서로 다른 단계를 거쳐서 진행된다고 봅니다.

 

  즉, 발달의 형태인 변화가 갑작스럽게 일어나면서 앞의 변화들과는 질적으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발달적 변화들에서 각각 서로 다른 일반법칙이 적용된다면 그것은 불연속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문제해결능력이 없던 아이가 어느날 문제해결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발달이 질적으로 서로 다른 단계를 거쳐서 진행된 결과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초기 경험과 후기 경험의 중요성

  인간발달에 있어서 초기 경험이 중요한가 아니면 후기 경험이 중요한가 하는 것을 두고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초기 경험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학자들에 의하면, 인생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한 개인의 심리·사회·정서적 특성은 그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서 조사해 봄으로써 알 수 있다는것에 착안하였습니다.

 

  반면에 후기 경험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학자들에 의하면, 인간발달은 인간을 둘러싼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데, 인생 초기보다 인생 후기의 경험이 더 영향을 받아서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주로 인간발달이 인생의 전 생애에 걸쳐서 이루어진다는 학자들은 초기 경험이 인간발달에 중요하지만 후기 경험도 그것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