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유아 발달 정보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by 빵글빵글 2025. 4. 14.

  사회학습 이론은 반두라가 처음 주장한 것으로, 관찰 학습, 대리 학습, 모방 학습이라고도 합니다. 사회적 학습은 본인이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학습을 말합니다. 즉, 많은 학습이 조건형성(이전 포스팅 참조)에 의해서도 이루어지지만 다른 사람에게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거나 그에 대한 이야기만 듣고도 충분히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두라의 실험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는 아이들을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TV를 보게 했습니다. TV 내용은 실험자가 보보 인형에게 공격적인 행동과 언행을 한 뒤, 각기 다른 보상과 처벌을 받는 장면 입니다.

 

  먼저 한 집단에게는 실험자가 공격적인 행동을 하고 난 뒤 강화(상)를 받는 장면을, 또 한 집단에게는 공격적인 행동을 하고 난 뒤 처벌(벌)을 받는 장면을, 나머지 한 집단에는 공격적인 행동을 하고 난 뒤 처벌 혹은 강화 모두를 받지 않는 장면을 보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보상을 받은 실험자를 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공격적인 행동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사회학습 이론은 간접적 학습 또는 관찰 학습을 강조합니다. 또한 이러한 사회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의 집중 과정, 보존 과정, 운동 재생 과정 그리고 동기 과정의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주의집중 과정

  이것은 실험자의 행동을 주의깊게 집중하여 관찰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실험자의 두드러진 특징이나 뚜렷한 단서를 주의 깊게 살펴야만, 관찰에 의해서 여러가지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주의 집중 과정은 실험자의 행동을 주의 깊게 보고, 어느 것을 선택하여 습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보존 과정

  실험자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그것을 기억하고 오랫동안 유지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실험자의 행동을 보고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실험자의 두드러진 특징이나 뚜렷한 단서나 특징을 기억하였다가 추후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실험자의 행동을 장기간 기억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을 상징적인 형태로 부호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동재생 과정

  실험자를 모방하기 위하여 실험자의 상징적 표상을 되새기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실험자의 상징적 표상을 잘 기억하여 그 행동을 계속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편, 실험자의 행동을 주의깊게 관찰하여 연습한다고 하더라도, 그 행동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동기 과정 

  실험자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동기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실험자의 행동을 모방하려 하지 않을 것 입니다.

 

  실험자의 행동을 모방하여 강화가 주어지면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만약 실험자의 행동이 긍정적인 보상으로 이어진다면, 그 행동에 대해 더 집중하고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그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강력한 동기가 됩니다.